728x90
위대한 여러분의 어머니와 인류의 2/3 이상이 술담배 없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1. 전 세계 술과 담배 인구
- 음주 인구: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억 명이 술을 마시고 있습니다.
- 흡연 인구: 전 세계적으로 약 13억 명이 담배를 피우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출처: 대한보건협회 웹진)
2. 한국의 술과 담배 현황
- 흡연율: 한국 인구의 약 20%(5천만 명 중 1천만 명)가 흡연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 담배 소비세 수입은 2011년 2조 7,850억 원에서 2021년 3조 5,579억 원으로 증가했습니다.
(출처: "담배는 아직도 유해하다")
- 담배 소비세 수입은 2011년 2조 7,850억 원에서 2021년 3조 5,579억 원으로 증가했습니다.
- 음주 문화: 술은 범죄, 사고, 가정 문제와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 피살자의 60%, 폭행사건의 72~79%, 강간사건의 31~50%가 술과 직접 연관되어 있습니다.
- 어린이 학대의 65~77%, 부부폭력의 52%도 술과 관련이 있습니다.
- 산업장 사고의 47%, 교통사고의 59%, 기타 치명적 사고의 60~83%에서 술이 영향을 미칩니다.
(출처: "이제는 절주시대")
3. 술과 담배의 사회적 영향
- 건강 문제:
- 술과 담배는 폐암, 심혈관 질환 등 주요 사망 원인입니다.
- WHO는 전 세계 사망자의 약 13%가 알코올과 담배로 인해 발생한다고 보고합니다.
- 경제적 손실:
- 알코올 남용으로 인한 전 세계 연간 경제적 손실은 5,000억 달러로 추정됩니다.
- 담배로 인한 사망은 연간 8백만 명 이상이며, 치료비 및 생산성 손실이 막대합니다.
4. 중독성과 규제
- 술: 알코올은 법적 연령 제한이 있지만, 사회적 수용도가 높아 규제가 제한적입니다.
- 담배: 니코틴의 중독성은 코카인과 유사하나, 전통적 기호품으로 인식되어 합법화된 경우가 많습니다.
- 금연 성공률은 낮아, 10년 이상 금연한 사람도 재발 가능성이 높습니다.
5. 비교 통계 (한국 vs 글로벌)
- 인터넷 중독: 한국은 성인 8.5%, 청소년 13%로 선진국 평균보다 높습니다.
- 음주율: 한국은 OECD 국가 중 상위권에 속하며, 특히 회식 문화와 연관됩니다.
결론
전 세계적으로 술과 담배는 여전히 널리 소비되지만, 건강 문제와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한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 금연·절주 캠페인과 세금 인상 등을 통해 사용을 억제하려 하지만, 문화적 관습과 중독성으로 인해 효과는 제한적입니다.
😊
금주 금연
사우스 코리안 파크 의 에피소드. 멤버십을 가입해야 볼 수 있다. 이번 편의 주인공은 공미영 과 윤광철 . 사실
namu.wiki
728x90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끼풀> 은평구 학생 언론 (0) | 2025.10.17 |
---|---|
[시] 달이 떴다고 전화를 주시다니요 - 김용택 (0) | 2025.10.03 |
[시] 영원의 맛을 알아버린 자 - 박노해 (0) | 2025.09.30 |
[도서] 커뮤니티에 입장하셨습니다 - 권성민 (0) | 2025.09.29 |
[도서] <작은 일기> 황정은 작가 (0) | 2025.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