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 피싱, 금융 사기 대응 사이트 "정부 공식"

728x90

 


 

모바일화면
PC 화면

 

보이스 피싱, 전기통신금융사기 및 정부 통합신고대응센터 



https://www.counterscam112.go.kr/

https://www.counterscam112.go.kr/


1. 보이스 피싱 (Voice Phishing)

 

  • 정의: 전화, 문자, 이메일 등을 이용해 피해자를 속여 개인정보나 금전을 탈취하는 사기 행위입니다.
  • 주요 수법:
    • 공공기관(검찰, 경찰, 금융기관 등)을 사칭해 "통장이 범죄에 사용됐다"며 협박하거나,
    • 카드 발급, 택배 배송, 지인 사고 등을 이유로 금전 이체나 개인정보를 요구합니다.
    • 최근에는 "카드 배송원 사칭" 사기나 "발신번호 거짓 표시"를 통한 스미싱도 증가 중입니다.

 

2. 전기통신금융사기

 

  • 정의: 전기통신 수단(전화, 인터넷 등)을 이용해 금융 피해를 유발하는 범죄로, 보이스 피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입니다.
  • 사례:
    • "서울중앙지검 검사"를 사칭해 "명의도용 피해자 조사"를 핑계로 계좌 정보를 요구하거나,
    • 가짜 투자 사이트로 유인해 돈을 편취하는 방식 등이 있습니다.

 

3. 정부 통합신고대응센터 (경찰청 산하)

 

  • 목적: 보이스 피싱, 스미싱 등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를 예방하고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입니다.
  • 주요 기능:
    • 신고 접수: 보이스 피싱 제보, 발신번호 거짓 표시, 스미싱 등 사기 행위 신고를 통합 처리합니다.
    • 긴급 차단: 사기 계좌나 전화번호를 즉시 차단해 추가 피해를 방지합니다.
    • 예방 교육: 피해 사례 공유, 예방법 안내, 웹진 배포 등을 통해 사전 예방 활동을 지원합니다.
  • 웹사이트: https://www.counterscam112.go.kr에서 신고 방법, 예방법, 최신 사기 수법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피해 예방 수칙

 

  1. 의심부터 하기:
    • 모르는 번호로 "카드 발급", "택배 배송", "공공기관" 관련 연락이 오면 무조건 의심하세요.
    • 금전 이체나 개인정보 제공을 요구하면 거절하고, 공식 대표번호로 직접 확인하세요.
  2. 즉시 신고:
  3. 주의 사항:
    • 경찰은 절대로 금전 이체를 요구하지 않으며, 금융기관은 전화로 비밀번호를 묻지 않습니다.

참고 사항

  • 단순 아르바이트로 보이스 피싱 콜센터에 가담했다가 공범으로 처벌받는 사례가 늘고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 피해 발생 시 신속한 신고와 법적 대응이 중요하며,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통합신고대응센터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

보이스피싱 제보, 발신번호 거짓표시 신고, 스미싱 신고, 통합신고, 간편제보, 긴급차단 등의 처리

www.counterscam112.go.kr

https://www.counterscam112.go.kr/

 


 
 
728x90

'Resourc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배달앱 모아보기  (2) 2025.09.19
내향인(I)과 외향인(E)  (0) 2025.09.18
'제노사이드(genocide)'  (0) 2025.09.18
NGC 6302 나비성운  (0) 2025.09.15
메루카리(メルカリ): 일본의 대표적인 중고거래 사이트  (4) 2025.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