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jwFreeNote에 HTML 생성 Button을 추가하는 방법은 jwFreeNote.ini 파일 내부에 아래와 같이 추가하면 가능합니다. jwmx님께서 잘 설명해 두셨으니까, Pass~ [IHTMLS] HR= HR-RED= HR-DOT= Enter 입력시에 발생하는 Tag 관련 처리를 처리하는 방법도 사이트에 아주~ 잘 나와 있지만, 쫌 한다 생각했던 늘보는 메모장 기본 서식도 필요했고 해서 Table 형태의 기본 서식을 만들어 사용 중입니다. 각설하고, 종종 문서 작성 중에 간단한 중간에 cmd 관련 화면을 넣던지 하는 경우에 간단한 음영 영역이 필요하여 버튼을 하나 더 생성해 보았습니다. SingleTable= 내용을 넣어 주세요!
회사 지인을 통해 알게된 유용한 메모툴인 jwFreeNote. 업무에도, 개인 메모에도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아주 고마운 UTIL. 매번 이런 것들을 만들어 주시는 분들이 고마울 따름입니다. http://jwfreenote.tistory.com/ (http://jwmx.tistory.com/) 사이트에 방문하면 더 많고 유용한 TOOL을 확인할 수 있고, 워낙 배울거 볼거 많은 블로그인지라 다른 지식도 많이 얻을 수 있답니다. 노트 말고도 사용하는 툴이 몇개야!!앙!! 벌써 몇년째인데 노트를 오래 사용하다 보니, 이상하게 한가지 폼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더라는 왠지 귀찮아서 일까나.. 늘보는.. 아무튼, 메모가 HTML을 지원하여 생기는 시너지는 정말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기분이랄까요? 굿굿! HTM..
Emulated Device Key Keyboard Key Home HOME Menu (left softkey) F2 or Page-up button Star (right softkey) Shift-F2 or Page Down Back ESC Call/dial button F3 Hangup/end call button F4 Search F5 Power button F7 Audio volume up button KEYPAD_PLUS, Ctrl-5 Audio volume down button KEYPAD_MINUS, Ctrl-F6 Camera button Ctrl-KEYPAD_5, Ctrl-F3 Switch to previous layout orientation (for example, portrait, l..
◈ AVD (Android Virtual Devices) 사용하기 Android 2.2 Froyo 업데이트 이후 변동된 사항이 있는지 점검차 살펴보던 중 역시나 저장 용량의 한계가 오는 걸 느낍니다. 대부분 Eclipse 의 "Android SDK and Manager"를 많이 사용하지만, 간단히 Emulator만 확인하는 경우가 종종 생기기도 하고, 기억은 안드로메다로 자꾸 놀러가는 형편인지라, 본인 참조용으로 끄적여 봅니다. 등장인물 : 늘보! ▶ AVD의 생성 및 관리 각 OS에 맞는 Command를 실행하여 sdk를 설치한 폴더의 tools 폴더로 이동합니다. Emulator 생성시의 명령은 아래와 같은 형식을 가집니다. android create avd -n -t [- ] ... 이름 및 타겟 ..
참조 : http://developer.android.com/reference/android/app/Activity.html public class Activity extends ApplicationContext { protected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protected void onStart(); protected void onRestart(); protected void onResume(); protected void onPause(); protected void onStop(); protected void onDestroy(); }
◆ *.tar, *.taz, *.tar.gz 확장자가 .tar 인 파일 풀기 - tar xvf 확장자가 .tgz나 .tar.gz인 파일 압축 풀기 - tar xvfz .tar로 파일 묶기 - tar cvf .tgz나 .tar.gz로 파일 압축하기 - tar cvfz - tar cvfz ↓조금더? df -h df -k : Hard Disk 용량 확인 adduser : 유저를 만들때 사용하는 명령 cd (change directory) : 디렉토리(윈도우에선 폴더) 변경할때 사용 chmod (change mode) : 파일의 허가상태 변경 chown (change owner) : 파일 소유권 병경 cp (copy) : 복사 date : 현재시작 표시 echo : 표준출력에 문자열을 출력 exit : 작업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