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고 싶지는 않고, 알고 가자!
1. PBR(주가순자산비율)이란?
- PBR은 주가와 기업의 순자산가치를 비교하는 지표입니다.
-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여기서 주당순자산가치(BPS, Book 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을 총 발행 주식수로 나눈 값입니다.
- 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 (BPS)
2. PBR의 의미
- PBR은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 대비 얼마나 평가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 예를 들어,
- PBR이 1 이하라는 것은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가치보다 낮게 평가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즉, 자산 대비 저평가된 상태일 수 있습니다.
- PBR이 1 이상이면 주가가 순자산보다 높게 형성되어, 자산가치 대비 시장에서 더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3. PBR 활용 방법
- 저평가 종목 찾기: PBR이 낮은 종목은 자산가치 대비 주가가 낮아 저평가 주식으로 볼 수 있지만, 기업의 성장성, 산업 현황 등 다른 요소와 함께 봐야 합니다.
- 성장주 및 가치주 판단: 성장주일 경우 순자산보다는 미래 성장성을 반영하므로 PBR이 높을 수 있고, 가치주는 PBR이 낮은 편입니다.
- 업종별 비교: 업종마다 적정 PBR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업종 내에서 비교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4. 주의할 점
- PBR이 너무 낮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닙니다. 재무 상태가 안 좋거나 사업 전망이 좋지 않을 수도 있으니 다른 재무 지표(예: PER, 부채비율 등)와 함께 분석해야 합니다.
- 자산가치가 현실 가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특히 무형자산이 많은 기업이나 성장기업은 PBR 해석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PBR은 기업의 자산 가치를 중심으로 상대적인 주가 수준을 평가할 때 매우 유용한 지표입니다.
투자 전략을 세우실 때 다른 재무 지표들과 함께 복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
장관님.. 여기 사이트가 좋습니다!
https://www.juaga.co.kr/
주식아가방
이광수와 박시동의 진솔하고 솔직한 투자이야기
juaga.co.kr
728x90
'Resources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에이피알(APR, 종목 코드: 278470) 정보 (0) | 2025.08.12 |
---|---|
[주식][키움HTS4] 최근 몇개월간 누적 등락률 순위 보기 (2) | 2025.08.12 |
[주식] 신용 융자 A, B, C, D군 (0) | 2025.08.12 |
2025년 2분기 인기 YieldMax ETF TOP 20 (AUM 기준) (0) | 2025.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