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데스크탑을 새로 구매하게 되었네요.
여차저차 하다보니 백업 없이 급하게 사게 되었고,
당연히 기존에 사용하던 대부분의 PC들을 함께 사용을 하게 되었답니다.
책상에 널부러져 가는 마우스, 추가 되는 블루투스 키보드..
개수는 충분이 있지만 책상이 점점...
기존 사용하던 노트북과 마우스 키보드를 공유할 필요가 생기게 되었네요.
전에 사용하던 키보드 마우스 공유 프로그램이 있었지만 요즘 새로 유행하는 것을 사용해 보고 싶었어요.
요즘 나온 신규 KVM(키보드, 비디오, 마우스. 그냥 이렇게들 부름) 프로그램이 있는지 열심히 검색을 하였고,
input 머시기니 share머시기니 Mouse 뭐시기를 설치해았는데
현재 사용하는 네트워크 환경이랑 안 맞아서 인건지 잘 동작하지 않더군요.
그냥 예전에 잘 사용하던 Barrier를 다시 설치하기로 하였답니다.
(Synergy의 후속 공개 버전이었더가 한 걸로 기억이...)
- barrier release :: https://github.com/debauchee/barrier/releases
barrier도 v2.4.0 이후로 다른 앱으로 갈아탄 모냥이네요.
하지만 다른 앱도 영 삐리해서 다시 검증된 베어리어를 까는 것으로!!
현재의 환경
- 첫번째 PC :: desktop - 이녀석을 메인으로 연결해서 쓸 예정 :: windows 11
- 두번째 PC :: laptop - 직전까지 사용하던 노트북 :: windows 10
- 세번째 PC :: laptop - 외부에 일 나갈 때 들고다니는 gram 노트북 :: windows 11
- 주요 연결은 A와B, 서브로 A에서 C도 연결하여 볼 예정
- 데스트탑은 공유기에 유선으로 노트북들은 무선으로 모두 연결되어 있음
- 모두 192.x.x.x 로 내부 IP로 연결되어 있지만 무선 또는 유선, window 버전이 다름 (10, 11)
- 리눅스 환경에서도 잘 연결되지만 .. 여기선 pass.
- 우분투와 같은 리눅스 환경과 연동할 때는 속설이긴 하지만 서버를 리눅스 쪽으로 해줘야 잘 연결이 되었었음.
개인적인 피셜임...
설치
- 공식 사이트에서 barrier v.2.4.0 내려받기
- 받은 파일 [동의함] 체크하고 한글 설정 후 설치
- 서버모드나 클라이언트 모드 선택 화면이 중간에 나올 때도 있고 안나올 때도 있고
- 이후 선택 가능하니 대충 설치
- 설치 후 실행시 첫 화면화면
- 설치중에 Bonjour 설치화면이 나오면 설치 (자동 설정과 관련이 있다는 것으로..추정중..)
- 현재 설정된 PC의 정보에 맞추어 화면에 보여진다
- 서버를 체크하면 해당 PC를 메인 설정으로 다른 연결된 클라이언트 PC에 키보드 마우스가 공유됨
- 클라이언트 체크시에는 서버에 IP를 넣어주고 붙이는 형태
설정
- 서버
- 상단에 서버에 체크를 하고
- 메뉴의 change Settings를 선택
- 네트워킹 부분에 서버 PC의 IP를 넣고 enable SSL을 체크 해제
- 클라이언트
- 클라이언트는 하단 클라이언트를 설정하고 Auto Config를 해제하고 서버 아이피를 넣어준 후 다시 Auto Config 클릭
- 자동으로 설정이 되긴 하지만 종종 연결이 잘 안되는 경우가 있어 수동도 넣어주는 형국임
- 서버에서와 마찬가지로 설정 변경에 들어가서 enable SSL을 꺼주고 address 에 서버의 IP를 넣어줌
- 연결
- 서버 PC은 Barrier 실행 화면에서 서버 설정을 누름
- 중앙에 서버 PC의 네트웍 아이디가 써여있는 모니터가 보임
- 해당 모니터 옆으로 오른쪽에 모니터를 끌어다 놓음 (화면 위치에 따라 마우스가 이동하면 해당 PC로 마우스가 넘어감)
- 모니터를 서버 옆으로 이동한 다음 더블클릭
- 모니터 설정 화면에서 추가할 클라이언트 PC의 네트웍 ID를 추가하여 준 다음 화면 이름을 설정하고 확인
- 이렇게 필요한 만큼 추가할 모니터를 반복해줌
실행
- 각 PC의 Barrier 실행 화면에서 시작을 눌러 실행
- Barrier의 설정 화면에 있는 Show Log를 통해 실제 동작 상태와 연결 상태등을 확인 할수 있음
드디어!!
키보드 2개와 마우스 2개를 없애게 되었다는!! 아~ 깔끔한 책상이여!!
728x90
'Resourc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스타일 파일 폴더 점유공간을 알려주는 TreeSize (0) | 2025.02.07 |
---|---|
[Windows10][driver] 윈도우 10에 설치한 드라이버를 백업 받아 보자! (0) | 2025.02.06 |
어라? 왜 WASD 키가 방향키로 바뀌었지? (0) | 2025.02.03 |
[Linux][Ubuntu] Terminator - terminal (0) | 2022.10.21 |
[Linux][Ubuntu][Shellscript] Shell 에서 명령어 실행 시간 확인 하기 (0) | 2022.10.02 |